Hacking Arts
[Linux] 파티션(Partition) 본문
<파티션>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몇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
거대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쪼개어 마치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가 있는 것처럼 사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파티션을 나누는 이유?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로 분할해서 사용하게 되면 한 곳엔 프로그램 파일과 관리하고 다른 한 곳엔 프로그램 파일과 시스템 파일을 관리하고 다른 한곳은 사용자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면 좀 더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운영체제에 따라 사용하는 하드디스크를 직접 다루는 것이 아니라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제어하므로 각 운영체제에 알맞은 파티션 형식이 각각 있어야 한다.
/dev/hda : Primary master 하드디스크
/dev/hdb : Primary slave 하드디스크
/dev/hdc : Secondary master 하드디스크
/dev/hdd : Secondary slave 하드디스크
/dev/hda1 : Primary master 하드디스크 첫 번째 파티션
/dev/hda2 : Primary master 하드디스크 두 번째 파티션
...........
/dev/hdb1 : Primary slave 하드디스크 첫 번째 파티션
/dev/hdb2 : Primary slave 하드디스크 두 번째 파티션
.........
주 파티션 및 확장 파티션의 경우 1부터 4까지의 파티션을 가지며, 5부터의 파티션은 그 하드디스크의 논리 파티션을 의미한다.
주 파티션 : 기본 파티션이다. 하나의 하드디스크에는 주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을 네 개까지만 만들 수 있다는 제한이 있다. 네 개 이상의 파티션이 필요한 경우 확장 파티션을 만들어 그 안에 노리 파티션을 두게 된다.
확장 파티션 : 하드 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고자 할 때 만드는 파티션이다. 확장 파티션은 저장 공간이 없으며, 안에 논리 파티션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커다란 그릇 역할만 한다.
논리 파티션 : 네 개 이상의 파티션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hda4를 확장 파티션으로 지정하여 논리 파티션을 만들게 된다.
hda1~3번까지는 주파티션이 될수있다.
hda4만 확장 파티션이 될 수 있음.
그다음 hda4안에 논리 파티션을 가져갈 수 있음(12개까지 가능)
그래서 하나의 디스크는 총 16개(주3 확1 논12)의 파티션을 가져갈 수 있음
'Computer & ETC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Quota(쿼타) (0) | 2014.08.23 |
---|---|
[Linux] file system (0) | 2014.08.23 |
[Linux] top (0) | 2014.08.23 |
[Linux] Daemon (0) | 2014.08.23 |
[Linux] 리눅스 인증과 패스워드 (0) | 201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