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twork/Theory (10)
Hacking Arts
flexibility (융통성) / aggregation (요약) / Multihoming (여러 곳으로 돌아갈 수 있음) 장점 : Addressing Hierarchy , End-to-End ReachabilityIPv6 주소는 16진수로 표시하고 4자리마다 : 으로 구분prefix Aggregation 때문에 체계적으로 관리와 Supermetting이나 CIDR이 가능함 Stateless Auto Configuration => 특정서버 없이 DHCP가 가능 => IPv6Stateful Auto Configuration => 특정 서버가 있어야 DHCP가 가능 => IPv4=> 이 차이점 *IPv6 => 일단 자신의 MAC주소를 48Bit에서 64Bit로 만든다. 그다음 Network주소에서 오는 64..
★SSID(Service Set IDentifier) : 무선 네트워크에서 쓰는 이름, 같은 무선네트워크에 있는 장비들은 모두 같은 SSID를 소유함SSID Broadcast를 Disabled하면 이것을 SSID Clocking이라고 함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폴트로는 100ms마다 SSID와 기타 구성 정보를 Broadcast로 뿌려줌 네트워크 인증 - 개방모드 : SSID만 맞으면 바로 시작 - 공유된 key 값을 비교해서 크기가 맞았을때 통신 - WPA (Wi-Fi Protocol Access) WPA2 (Wi-Fi Protocol Access 2) ★Wi-Fi (Wireless Fidelity)란? 무선장비들의 호환성 검증 ★★보안 : Authentication 과 EncryptionWEP(Wire..
★AP(Acess Point) : 공유기와 같이 유선에서 스위치 역활은 하는 놈임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ence) - IEEE802.111)Listen Air Space(radio wave) : 즉 현재 통신이 일어나고 있는지 들어보는 겁니다. 전에 배운 CSMA/CD에서도 같은 동작을 함2)Set Random wait timer before sending frame : 데이터 전송 X, Random시간 wait3)After timer has passed , Listen again and send : 랜덤 시간 후, 다시 통신여부 전송 그다음 프레임 전송4)Wait for an Ack : Ack신호 기다림5)If no A..
-종류1)Standard : 출발 주소로 제어2)Extended : 출발,목적지,프로토콜,포트번호등..3)Dynamic ACL (1)ACL은 윗줄부터 하나씩 차례로 수행됨 -> 첫줄에서 탈락되면 2번째줄 실행 X / 즉!! 첫줄을 통과해야 다음줄이 있음(2)ACL 마지막 line에 "permit any"를 넣지 않을경우는 default로, 어느 ACL도 match되지 않은 나머지 address는 deny됨, 막줄에 deny all이 무조건 있음(3)Access List를 하나 지우면 모두 지워짐!(4)interface에 Access group 명령어 들어가 있지 않으면 permit any되어짐 Priority ~ -> 높은 라우터가 Active 라우터Preempt delay 5 -> 없으면 되살아가기 X..
업뎃 Invalid Time Flush Time AD VLSM가능여부RIP : 30초 180초 240초 120 XIGRP : 90초 270초 630초 100 X RIP은 홉카운트 15가 제한IGRP : 홉카운트가 255 / Bandwith, delay, Reliability,Load,MTU Split Horizon -> Distance Vector의 취약점 보안 A라우터에서 받은 정보를 A에게 전달 X STP : 기다려주는 시간 20초 안되면 Learning,Listening 시간 15초씩을 기다리고 BLK에서 Forwarding 상태가 됨 OSPF : Convergence Time(업뎃주기) : 변화하면 바로 / VLSM 가능 / AD 110 / Hello 10초 , Dead 40초 RIP은 Broad..
*DLCI (Data-Link Connection Identifier) : 프레임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주소*LMI (Local Management Interface) : DLCI 정보와 PVC 정보를 알려줌, Ansi가 대표적 여러가지 있음 *인캡슐 - IETF - Cisco 방식 *Inverse ARP와 Frame-Relay Map은 같이 사용 불가 (자동으로) (수동으로 DLCI와 IP주소를 잡음) *P-to-P : 서로 다른 메트릭 이런식으로 각각 Frame-Relay를 각각 잡아주는 것 *M-to-P : 이때 ABC를 맵으로 넣어서 A-> B,C / B-> A,C / C -> A,B 를 잡아줌 frame-relay map Broadcast show frame-relay map / show fr..
Leased Line (전용선 방식) : HDLC,PPP,SLIP -> 말그래도 전용선Circuit Switched (회선 스위칭 방식) : PPP,SLIP,HDLC -> 업체가 빌려줬다가 다시 받는 것Packet Switched (패킷 스위칭 방식) : Frame-Relay , ATM, X.25 -> 패킷 단위로 전송(Load Balancing이 가능해짐)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 Cisco, 표준도 있음 PPP(Point to Point) : 표준, ★강력한 보안 ★여러가지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 Cisco 라우터 ---------------- 타회사 라우터 : 사이에 HDLC(Cisco)는 안됨 HDLC : HDLC : Flag / Address / Cont..
대충 내가 시험볼때 요약했던 요약본이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외우면서 시험을 봤다. 자세한 개념은 각각을 공부하면서 하면 편하다. LAN은 별로 할게 없다. CCNA에서 가장중요한VLAN!!!! 그리고 STP(Spanning Tree Protocol) 정도가 끝이다 fault tolerant : 장애 대비책Load Balancing : 분산 Router는 네트워크를 나눠준다. 잘 기억하도록하자. 이개념도 굉장히 많이 응용되고 나옴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 영어 뜻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가변길이서브넷마스크 이정도로 해석되는데.아이피가 부족해지면서 생긴 방법중에하나도 연습 정말 많이 하자. 나도 여기에 관한 문제를 굉장히 많이 풀었다. 이건 누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