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g Arts
[Solaris] Booting 과정 본문
<run-level>
★0 : OK모드라고도 불리우며 OS가 돌아가지 않는 상태
★S : single모드라고 불리우며 아래와 같은 특징을 보임
1)single user mode
2)root만이 존재함
3)system 운영에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file-system만 mount됨
4)내부->외부(가능) 외부->내부(불가능)
★5)장애 복구에 사용됨
★6)patch나 backup을 할 때 들어가게됨(최근에는 kernel patch의 경우만 이동함)
1 : 모든 지역 file-system이 mount
2 : 사용자가 login 가능 하며 NFS,Web Service가 제공되지 않음
3 : 가장 높은 run-level이고 모든 service가 가능함
4 : 사용하지 않음
5 : file-system도 모두 unmount된 후 power-off 됨
6 : file-system도 모두 unmount된 후 rebooting 됨
<Booting 순서>
1. PROM이 POST를 실행
2. boot device 결정
3. 부트프로그램인 bootblk를 load
4. bootblk는 2번째 부트프로그램인 ufsboot를 load
5. ufsboot는 kernel을 load (32bit or 64bit)
6. kernel은 자신을 초기화하고 module을 load
7. configuration 파일인 /etc/system을 읽음
8. kernel이 /sbin/init을 실행
boot PROM 단계 : 1,2,3
boot program 단계 : 4,5
kernel 초기화 단계 : 6,7
init 단계 : 8
<Rc script>
run control script로 booting될 때 run-level에 따라서 boot or kill 시킬 프로그램이 정해져 있음
/etc/rc[0,1,2,3].d/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들은
/etc/init.d안에 파일과 하드링크(ln -f) 걸려 있음
[S/K][number][service의 daemon명] -> S는 start K는 kill 숫자는 순서 service의 daemon명은 이름
'Computer & ETC > Solar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aris] Crontab,link and Script(갈무리 기능) (0) | 2014.08.23 |
---|---|
[Solaris] Fsck(Fike System ChecK) (0) | 2014.08.23 |
[Solaris] OK mode 와 Disk읽는 법 (0) | 2014.08.23 |
[Solaris] hostname 변경 법 / issue and motd (0) | 2014.08.23 |
[Solaris] Solaris NIC(Network Interface Card) (0) | 201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