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g Arts
argc argv 본문
<argc argv>
argc : 인자의 갯수
argv : 인자가 들어 갈때 포인터로 가질때 붙는 이름
이 명령어는 윈도우보단 리눅스에서 많이 쓰일 수 있다. 대게 생각해보면 find라는 리눅스 명령어로 연관시켜 생각해보자
find 다음에는 어디를 기반으로 찾을지가 들어가고 그다음 -name -perm -mtime 등 에따라 다음 인자가 구성된다. 대게 이런식으로 구성되면
argc는 4개가 된다
argv[0]=find(이자리는 명령어의 이름이 들어감)
argv[1]=디렉토리명
argv[2]=-name,-perm등...
argv[3]=2번에따른 인자
그다음 if를 사용해서
if(argv[2]==-name)
이런식으로 인자마다 다르게 구성하고
3번으로 코드가 짜여질것이다.
1번은 아마 그전에 쓰여질것이다.
아직 코드를 정확하게 짜는게 불가능해서 이런식으로 밖에 설명을 못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내생각대로 짠 find이다. 실제로는 이렇지 않을 수 도 있다.
사진을 보면 인자의 수가 잘못되면 다시 넣어달라고 하고 제대로 넣으면 연산결과가 된다.
이건 내가 짠 프로그램이고 http://winapi.co.kr/clec/cpp1/10-4-2.htm 여기를 참조하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음.
코드를 설명하면 인자는 4개만 받는다 아닐시 표준오류로 프로그램이 종료됨
그리고 atoi 함수는 문자열을 정수로 전환해준다. argv는 문자열 형태로 들어간다.
그다음 switch case문을 이용하여 연산을 선택한다. 대충 이런정도의 코드이다.
'Programing > C Progra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 cheat sheet (0) | 2015.10.22 |
---|---|
Debug mode 와 Release mode (0) | 2014.10.01 |
Pow,Sqrt,Floor,Ceil (0) | 201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