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Hacking Arts

[Linux] RPM(Redhat Package Management) and yum,wget 본문

Computer & ETC/linux

[Linux] RPM(Redhat Package Management) and yum,wget

Rakehell 2014. 8. 23. 01:52

<RPM>

※rpm은 package관련 명령어로 *.rpm으로 끝나는 파일을 설치 등을 해주는 명령어이다.  파일은 대게 [이름] - [릴리지 버젼] -[아키텍쳐].rpm으로 구성된다.


rpm -qa : -q는 --query -a는 all을 뜯한다 즉 모든 설치된 package를 보여 달라는 것이다.

이 명령어 또한 rpm -qa | grep 을 고정이라고 생각하자!!


rpm -e [package명] : package를 삭제하는것

★★package를 삭제하다가 경고문에 failed dependencies 라는 로그가 뜨면 이때는 의존성에 의해 삭제 되지 못한것이다.

즉 A는 B가 있어야 돌아가고 B는 C가 있어야 돌아가는 상황에 C를 삭제할려면 B를 먼적 삭제해야되는데 그때 A도 의존성이 있어서 A->B->C 이순으로 삭제 해야됨 설치는 반대로 이와같이 의존성을 잘 찾아서 설치해야된다!!


rpm -e --nodeps [package명] :  의존성없이 강제 삭제인데 별로 좋지 않은 명령어같다.


rpm -i[옵션] [package 파일] : 새로 설치

rpm -U[옵션] [package 파일] : 업그레이드

옵션에 -v : 설치과정을 자세히 보여줌 

          -h : 설치과정을 #로 표시해서 보여줌

그래서 대게 -ivh -Uvh와같이 같이 사용함


★rpm -qi [package명] : package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rpm -qs [package명] : pakgage 상태 확인

   rpm -qc [package명] : package 설정 파일 출력

★rpm -ql [package명] : pakcage 설치된 파일 목록 출력

   rpm -qp [package명] : package 파일(미설치 포함)에 대하여 질문을 시작함


rpm의 단점은 의존성 패케지가 설치되어있지않으면 그 파일을 다시 받아서 다시 설치 하고 설치해주어야하는 단점이 있다.


<yum>

yum은 rpm에 달리 의존성 패케지를 자동으로 설치해준다. 대부분 가장 많이 사용함.

yum -install [package명]

yum -check-update [package명]

yum remove [package명]

um info [package명]


/etc/yum.conf 파일에 URL을 수정가능함


<wget>

wget [사이트 주소] : 파일을 받아서 압축을 푼다.

그후 대게 ./configure로 재구성 해줌



------------------


rpm -qa - lists all installed packages

rpm -qf  <filename> - shows owning package for specific file

rpm -qi <packagename> - general information of package

rpm -ql <packagename> - shows all files owned by package

rpm -qvl <packagename> - would also show if a package is installed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what 

'Computer & ETC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인증과 패스워드  (0) 2014.08.23
[Linux] version 확인법  (0) 2014.08.23
[Linux] lspci and ldd  (0) 2014.08.23
[Linux] User & Group Administration  (0) 2014.08.23
[Linux] Boot Sequence  (0) 201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