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g Arts
WAN 본문
<WAN>
Leased Line (전용선 방식) : HDLC,PPP,SLIP -> 말그래도 전용선
Circuit Switched (회선 스위칭 방식) : PPP,SLIP,HDLC -> 업체가 빌려줬다가 다시 받는 것
Packet Switched (패킷 스위칭 방식) : Frame-Relay , ATM, X.25 -> 패킷 단위로 전송(Load Balancing이 가능해짐)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 Cisco, 표준도 있음
PPP(Point to Point) : 표준,
★강력한 보안
★여러가지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
Cisco 라우터 ---------------- 타회사 라우터 : 사이에 HDLC(Cisco)는 안됨
HDLC :
HDLC : Flag / Address / Control / Data / FCS / FLAG
Cisco HDLC : Flag / Address / Control / Propriety / Data / FCS / FLAG
->두 encapsulation의 차이점을 보여줌
PPP - NCP(Network Control Protocol) : IP,IPX,Apple Tak 등 멀티프로토콜 지원
- LCP(Link Control Protocol) : 링크 접속에서의 보안,에러체크,압축기능,멀티링크 ppp
*PPP 통신순서 : 데이터링크 계층을 서로 연결 -> 보안인증 -> 네트워크 계층 연결
PPP 보안 인증 방법 - PAP(PPP Authentication Protocol , 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 2Way-HandShake , User/pass가
encryption (암호화) 되어지지 않고 가므로 위험성이 높음
- CHAP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 3Way-HandShaking
부산 라우터 ---------- 서울 라우터
PAP / Username : Busan Pass : cisco -> 접속허가 or 불허 ( 부산 -> 서울 그다음 서울 -> 부산 이런식으로 패킷이 오감)
CHAP / Username : Busan Pass cisco ( 부산 -> 서울 : Challenge / 서울 -> 부산 : Response / 부산 -> 서울 : Accept or Reject)
Challenge 에서는 암호화 프로그램 있음 / Response : 받아서 자신의 Username과 Pass를 해싱함 / 자신이 가진것을 해싱후 확인
'Network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ynamic Routing (0) | 2014.08.23 |
---|---|
Frame-Relay (0) | 2014.08.23 |
LAN2 (0) | 2014.08.23 |
LAN (0) | 2014.08.23 |
라우터를 사용하는 이유 (0) | 201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