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47)
Hacking Arts
오버클럭킹(Overclocking)은 컴퓨터 부품이 제조업체에 의해 설계된 바 보다 강제로 더 높은 클럭 속도로 동작할 수 있게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흔히 개인용 컴퓨터 애호가들이 그들의 컴퓨터 성능을 높이기 위해 클럭을 높인다.사용자들은 프로세서, 비디오 카드, 메인보드, 칩셋, 램 등의 부품의 클럭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인 최대 운영 주파수에 다다를 때까지 메인보드의 프론트 사이드 버스 (FSB)와 CPU 배수를 높여 나가면서 이를 수정할 수 있다. 단, K8 마이크로아키텍처 이후의 AMD 프로세서는 FSB가 없으며, 하이퍼트랜스포트의 클럭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오버클럭킹이 가능하다. 현재 출시하는 인텔, AMD의 프로세서는 대부분 상위 배수 조절이 제한되어 있으며, 예외적으로 인텔은 익스트림 제품..
MPEG TS(transport stream) 패킷은 188바이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중에서 184바이트는 페이로드정보라 하고, 4바이트는 헤더정보입니다. 페이로드정보는 말 그대로 유료하중, 즉 방송 데이타가 들어가는 부분이고,헤더정보는 패킷식별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통신을 하면서 어떤 신호인지를 구분해주는 부분이 헤더정보이고,실질적으로 방송의 내용이 페이로드라 보시면 됩니다.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01&docId=67753819&qb=cGF5bG9hZ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gGKYY35Y7uCssc9wMQossc--015657&sid=T4Mvv3L5gk..
입출력 장치 제어기(IO device controller)가 CPU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없이 자료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DMA이다. 이 방식에 의해서 입출력의 속도를 향상할 수 있으며, CPU와 주변 장치간의 속도차를 줄일 수 있다. 입출력 장치가 DMA를 요구하면 CPU가주메모리의 제어를 넘겨주게 되는데 CPU는 이 작업을 CPU 사이클이 끝나는 지점마다 허용할 수 있다.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6
운영 중인 시스템에서 시스템 전체의 동작에는 하등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장치나 부품을 교체하는 것. 컴퓨터의 경우 동작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하드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전원 공급 장치 또는 기타 장비들을 교체해도 자동 인식되어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교체는 장비의 장애 또는 다른 데이터의 대체를 위해서 행하며, 컴퓨터의 버스나 입출력 제어 장치에 외부 형태를 제공하는 래크나 틀에서 이루어진다. 구내 정보 통신망(LAN)에서의 공유 장비나 스카시(SCSI)와 IDE 하드 드라이브,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RAID) 장비에서도 가능하다. 사전적의미는 이렇지만 간단히 말하면 이전의 서버에서는 장비를 교체하거나 인식시킬려면 서버를 끄고 장비가 멈춘뒤에 했어야 했지만 이 기술은 그냥 서..
요약:1996년 인텔(intel)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일본의 도시바가 공동으로 개발한 컴퓨터용 전력관리 규격이다. 컴퓨터에 연결된 주변장치와의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지금 사용하고 있지 않은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끌 수 있다. 본문: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프로세스는 물론, 컴퓨터에 접속한 각종의 주변 회로, 기기류의 전원 상태 등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기존에는 하드웨어에 가까운 부분에서 APM이라는 규격이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있었지만, 앞으로는 ACPI 규격에 의한 제어로 차츰 바뀔 것으로 기대된다.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도 이 규격을 사용함으로써, 노트형퍼스컴(노트북)과 같은 서스팬드(suspend:작업 실시 중에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것)와 그 복귀에 의해 더욱 빠르..
이온포라고 불리우는 녀석으로 tcp udp http 패킷을 엄청나게 만들어서 트래픽을 포트 하나만 집중적으로 공격해서 트래픽을 과다 픽스시켜 다운시켜버리는 일종임.다른 DDOS랑은 달리 패킷을 보니 그저 과다로 만들뿐 ip변환등 여러가지 기능이 없음2ch 테러할때 이걸 사용한 것 같더군요. 잡설은 이정도로 해두고요. 그렇게 엄청난 툴은 아닙니다. 사용법은 ip 위에 입력후 lock on 버튼 을 눌러주시고 DOS공격전에 항상 포트스캐닝 아시죠!! 즉 스캐닝을 해서 열려있는 포트udp면 udp tcp면 tcp를 하시고 http는 웹사이트에 그냥 갈귀는 거구요.. 이런식으로 선택 Threads의 갯수 그리고 속도를 조절후 저 위에 엄청큰 네모 버튼을 눌르시면 오오 패킷을 볼수 있습니다.이건 제 wiresha..
john이라고 불리며 크래킹 툴중에 하나다. 크래킹은 간단한 원리다.범위가 a~z,0~9이런식이면 a~z,0~9로 문자를 만들고 그다음 SALT를 붙이고 번호에 맞는 해쉬값으로 해쉬하고 맞으면 그것을암호라고 알려주고 아닐경우 다음 문자로 가는 이러한 형태이다. john의 경우 여러가지 형태로 대입공격이 가능한데 내가 한것은 wordlist를 작성한 Dictionary Attack이다. 일단 네트워크가 잡혀있는지를 확인해야한다. wget으로 파일을 받아와서 압축과 tar를 해제 그다음 user라는 user를 하나 만들고 비밀번호를 kero라고 주었다.그다음 passwd.txt라는 파일을 만들어서 shadow,passwd 파일을 복사해 넣었다.이건 wordlist로 keroro2424.과 kero를 추가해서..
-FAT는 파일의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클러스터의 위치를 기록하는 표 -FAT2는 FAT1의 백업본 -FAT Entry는 4Byte씩 구성되어 있으며 각 클러스터와 대응(=>FAT Entry 번호는 클러스터 번호와 동일하다는 의미) -FAT1 영역에 대한 구조(97번 섹터) -최초 4Byte(0번 Entry)와 그 다음 4Byte(1번 엔트리)만 다르고 나머지 Entry는 자신의 번호와 일치하는 클러스터와 1:1 대응하며, 자신의 번호에 해당하는 클러스터의 상태 값을 저장 -클러스터 0번과 1번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제 데이터 영역의 맨처음에 오는 클러스터는 2번 클러스터 (8271섹터)임 -FAT Entry의 값이 0x?FFFFFFF => 해당 파일의 마지막 클러스터를 의미 (여기가 끝), 다른 표현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