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47)
Hacking Arts
-요약모든 데이터를 오브젝트(object;물체)로 취급하여 프로그래밍 하는 방법으로, 처리 요구를 받은 객체가 자기 자신의 안에 있는 내용을 가지고 처리하는 방식이다. -본문 이 개념은 1960년 중엽에 유행한 시뮬레이션 언어의 SIMURA에서 유래한 것이다. 모든 데이터를 오브젝트(object:물체)로 취급하며, 이 오브젝트에는 클래스(class:類)의 개념이 있어서 상위(上位)와 하위(下位)의 관계가 있다. 클래스의 구체적인 예가 인스턴스(instance)이다. 오브젝트 사이는 메시지의 송신(送信)으로 상호 통신한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각 클래스에 그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이 있다는 것이다. 어떤 인스턴스에 메시지가 도래하면 그 상위 클래스가 그것을 처리한다. 현재 오브젝트지향개념은 프레임 표..
거듭 제곱을 구할때 쓰는 함수이다.Math.h에 포함되어 있으며 double pow((double)a , (double)b);long double powl((long double)a , (long double)b);float powf((float)a, (float)b);가 있다.캐스트형으로 변수의 type을 변환시켜줘서 넣어주고 함수도 캐스트로 변환이 가능하다.pow함수의 사용예이다. 이 함수는 제곱근을 구해주는 함수이다. 세젭곱근 이런건 못하지만 제곱근만 구할 수 있다.이와같이 사용되며double sqrtfloat sqrtflong double sqrtl와같이 사용됨 floor 함수는 우리가 수학시간에 배웠던 가우스 함수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위 설명은 가우스 함수에 대한 설명이다.그리고 이건 f..
argc : 인자의 갯수 argv : 인자가 들어 갈때 포인터로 가질때 붙는 이름 이 명령어는 윈도우보단 리눅스에서 많이 쓰일 수 있다. 대게 생각해보면 find라는 리눅스 명령어로 연관시켜 생각해보자 find 다음에는 어디를 기반으로 찾을지가 들어가고 그다음 -name -perm -mtime 등 에따라 다음 인자가 구성된다. 대게 이런식으로 구성되면 argc는 4개가 된다 argv[0]=find(이자리는 명령어의 이름이 들어감)argv[1]=디렉토리명argv[2]=-name,-perm등...argv[3]=2번에따른 인자 그다음 if를 사용해서if(argv[2]==-name)이런식으로 인자마다 다르게 구성하고3번으로 코드가 짜여질것이다.1번은 아마 그전에 쓰여질것이다. 아직 코드를 정확하게 짜는게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