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47)
Hacking Arts
사전적의미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미리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데이터를 읽고, 쓰고, 찾기 위한 준비를 해둬야 한다. 파일 시스템은 그 준비의 규칙을 정리해 놓은 것으로서 파일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파일을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체계를 의미한다. 도스나 윈도·OS/2·매킨토시·유닉스 등 모든 OS가 반드시 갖추고 있는데, 예를 들면 윈도의 FAT16·FAT32·NTFS, 리눅스의 ext2·raiserFS·ext3 등이 있다. 파일을 디렉터리에 저장시키며 새로 생긴 파일에 이름을 붙이는데, 파일명의 길이를 제한하기도 하고, 어떤 문자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기도 하며, 파일명 확장자의 길이를 제한하기도 한다. 또 디렉터리 구조를 통하여 파일까지 가는 경로를 ..
OS가 올라와 있지 않는 상태 POST(Power on Self Test)가 실행되고 NVRAM에는 몇가지 설정값들이 들어가 있음EEPROM은 NVRAM 내부에 존재하는 영역이다. ★★★printenv [없음/parameter값] : 현재 설정 되어 있는 값을 전부 or 각각의 값으로 볼 수 있음★★★setenv [parameter값]=[true/fales or 기타 값] : 설정 값을 바꿀 수 있음★★★reset-all : 바꾼 값을 저장해줌 중요함!! 꼭 해야함!! ★★banner : 호스트ID,MAC주소,기타 사양을 볼수 있음 ★★boot [없음/device명] : device명으로 boot시켜 줌 입력을 안할시 default값 으로 booting해줌 set-[default/defaults][par..
★0 : OK모드라고도 불리우며 OS가 돌아가지 않는 상태★S : single모드라고 불리우며 아래와 같은 특징을 보임 1)single user mode 2)root만이 존재함 3)system 운영에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file-system만 mount됨 4)내부->외부(가능) 외부->내부(불가능) ★5)장애 복구에 사용됨 ★6)patch나 backup을 할 때 들어가게됨(최근에는 kernel patch의 경우만 이동함)1 : 모든 지역 file-system이 mount2 : 사용자가 login 가능 하며 NFS,Web Service가 제공되지 않음3 : 가장 높은 run-level이고 모든 service가 가능함4 : 사용하지 않음5 : file-system도 모두 unmount된 후 power-of..
whereis [명령어] : 명령어의 PATH , MANPATH 와 같이 명령어의 절대 경로를 알려줌who : 현재 접속한 사용자를 알려줌★★★who -r : 현재 run-level을 보여줌-------------------------------------------------------------------------※영구적1./etc/hosts 파일에 ip에 따른 hostname을 변경2./etc/nodename 파일에 들어가서 hostname을 변경3./etc/hostname.[interface명] 파일에 들어가서 hostname을 변경------------------솔라리스 9번젼 이하만---------4./etc/net/[디렉토리 3개]/hosts 파일에 들어가서 전부 바꿔줌★★★★★ reboo..
1./etc/hosts 파일에 들어가여 ip주소와 hostname을 맵핑 시켜줌 / log를 남길 호스트에 loghost라고 적음2./etc/netmasks 파일에 들어가여 network 주소와 netmask를 적어줌3./etc/defaultrouter 파일에 들어가여 GateWay주소를 적어줌4./etc/resolv.conf 파일에 들어가여 nameserver 168.126.63.1 domain kns.kornet.net 을 적어줌5./etc/nsswitch.conf 에 들어가여 hosts: files 줄에 끝에 tab버튼+dns라고 적어줌 ※일시적ifconfig [interface명] [plumb/unplumb] : NIC를 인식함ifconfig [interface명] [ip주소] netmask [n..
일반적인 rm의 경우 요즘에는 alias를 걸어서 rm -i 등으로 대체하여 rm만 쓰면 지울것인가가 나온다. 근데 \표시를 이용하여 rm -i의 alias기능을 무시하여 rm 처럼 그냥 지우게 했다.
현재 시스템에 접속해있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즉 who라는 명령어는 이 파일의 내용을 읽어들인다. 지금까지 접속해있던 사용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며 오래되면 파일의 크기가 커질수있으므로 백업을 요함즉 last라는 명령어는 이 파일의 내용을 읽어들인다. =======================================================-rw-rw-r-- 1 root utmp 7680 4월 20 14:48 utmp ( /var/run )-rw-rw-r-- 1 root utmp 317952 4월 20 14:48 wtmp ( /var/log )-rw-r--r-- 1 root root 588672 3월 15 19:24 lastlog ( /var/log ) -> 가장 최근에 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