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47)
Hacking Arts
*DLCI (Data-Link Connection Identifier) : 프레임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주소*LMI (Local Management Interface) : DLCI 정보와 PVC 정보를 알려줌, Ansi가 대표적 여러가지 있음 *인캡슐 - IETF - Cisco 방식 *Inverse ARP와 Frame-Relay Map은 같이 사용 불가 (자동으로) (수동으로 DLCI와 IP주소를 잡음) *P-to-P : 서로 다른 메트릭 이런식으로 각각 Frame-Relay를 각각 잡아주는 것 *M-to-P : 이때 ABC를 맵으로 넣어서 A-> B,C / B-> A,C / C -> A,B 를 잡아줌 frame-relay map Broadcast show frame-relay map / show fr..
Leased Line (전용선 방식) : HDLC,PPP,SLIP -> 말그래도 전용선Circuit Switched (회선 스위칭 방식) : PPP,SLIP,HDLC -> 업체가 빌려줬다가 다시 받는 것Packet Switched (패킷 스위칭 방식) : Frame-Relay , ATM, X.25 -> 패킷 단위로 전송(Load Balancing이 가능해짐)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 Cisco, 표준도 있음 PPP(Point to Point) : 표준, ★강력한 보안 ★여러가지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 Cisco 라우터 ---------------- 타회사 라우터 : 사이에 HDLC(Cisco)는 안됨 HDLC : HDLC : Flag / Address / Cont..
대충 내가 시험볼때 요약했던 요약본이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외우면서 시험을 봤다. 자세한 개념은 각각을 공부하면서 하면 편하다. LAN은 별로 할게 없다. CCNA에서 가장중요한VLAN!!!! 그리고 STP(Spanning Tree Protocol) 정도가 끝이다 fault tolerant : 장애 대비책Load Balancing : 분산 Router는 네트워크를 나눠준다. 잘 기억하도록하자. 이개념도 굉장히 많이 응용되고 나옴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 영어 뜻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가변길이서브넷마스크 이정도로 해석되는데.아이피가 부족해지면서 생긴 방법중에하나도 연습 정말 많이 하자. 나도 여기에 관한 문제를 굉장히 많이 풀었다. 이건 누구나..
Base Band : 디지털 방식Broad Band : 아나로그 방식 MAC(Media Access Control) PC가 가장 처음만나는 라우터나 공유기 포트를 GATEWAY로 가지는 것을 잊지 말자. uni 1:1(MAC을 자세히 사용)multi 1:다(224.0.0.1 이상 대역을 사용 랜카드가 보고 필요하면 cpu에게 인터럽트 걸고 넣어줌 아니면 버림)broad 전부(FF-FF-FF-FF-FF-FF) 랜카드가 이걸 받으면 무조건 인터럽트걸고 cpu에게 넣어줌그래서 boradcast를 자주사용하면 cpu가 자주 인터럽트 걸려 안좋을수 있음. 브리지 스위치는 collision domain CSMA/CD를 나누는 거임!!그래서 스위치의 포트 하나는 허브하나랑 같다고 보면된다.MAC Table의 Agin..
언젠가 책에서 본적이있다. 라우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위치로 충분히 통신을 할 수 있으니까 스위치로 전부 연결하면 되지 않냐라는 질문을 본적이 있다. 라우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단 한가지이다. 바로 스위치의 브로드캐스트를 받으면 전부뿌리는 것때문이다. PC가 몇대만있으면 switch가 가격면에서는 좋다 하지만 PC량이 많아지면 컴퓨터마다 브로드 캐스트를 만들게 되면 엄청난 패킷이 발생되어 아마도 PC들이 다운되는 현상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라우터를 사용한다. 라우터를 사용하면 브로드캐스트 Packet을 버려주기때문에 과도하게 만들어 내지 않는다. IPv6때부터는 아예 브로드캐스트를 없애고 Multicast로 대체한다.
[GetLastError()]윈도우 Error 코드 ERROR code/Control 윈도우를 하다보면 가끔씩 이유없이 에러가 날때가 있습니다. 아래의 글은 그 에러코드를정리한 것입니다..사실 초보자에게는 ㅡㅡ;; 그냥 궁금증정도만 해결될것 같네요 0 0x0000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1 0x0001 올바르지 않은 함수입니다. 2 0x0002 지정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3 0x0003 지정한 경로를 찾을 수 없습니다. 4 0x0004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5 0x0005 접근이 거부되었습니다. 6 0x0006 잘못된 핸들입니다. 7 0x0007 저장 컨트롤 블록이 손상되었습니다. 8 0x0008 저장 공간이 부족해서 이 명령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9 0x0009 저장 컨트롤 블록 주소가 올바..
1.Dim - 변수를 선언예)Dim a,b,c 2.Set - 객체를 생성예)Set rs = Server.CreateObject("ADODB.RecordSet") 3.IF ~ THEN - 만약 ~ 라면. (조건이 적은 경우)예)IF intNumber = 1 THEN Response.Write "intNumber 에 들어있는 수는 1입예다!"ELSEIF intNumber = 2 THEN Response.Write "intNumber 에 들어있는 수는 2입니다!"ELSEIF intNumber = 3 THEN Response.Write "intNumber 에 들어있는 수는 3입니다!"ELSE Response.Write "intNumber 에 들어있는 수는 1,2,3 이 아닌 다른 숫자입니다!"END IF 4.S..
기존의 HTML은 위 그림처럼 서버에서 처리 없이 코드 페이지를 직접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후 클라이언트 내에서 처리를 해서 페이지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그에 비해 ASP는위 그림처럼 ASP로 짜여진 코드를 서버(Window Server/IIS)에서 처리 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위 같은 언어로 PHP가 비슷하며 JSP랑은 조금은 틀리다. 위 설명의 예로는 방명록을 말할 수 있다. HTML로는 방명록을 만들 수 없다.하지만 ASP와 같은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방명록을 만들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