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47)
Hacking Arts
※pkginfo의 경우 모든 package를 보여줌, instance name을 확인할 때 주로 사용pkginfo | grep [fpackage명]pkginfo -l [instance name] : 더 자세하게 package의 내용을 볼 수 있다. ※pkgadd는 package를 설치함pkgadd -d .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패키지를 설치함pkgadd -d [instance name] -> packagee 설치 ※pkgrm은 package를 제거할때 사용함pkgrm [instance name] ※pkgchk는 아무런 메세지가 없을때 성공적으로 설치된 것pkgchk [instance name]pkgchk -v [instance name] : 패키지에 포함된 file list를 출력해줌 ----..
※sar명령어는 CPU의 사용량을 측정할때 많이 이용되며 CPU의 요구량이 높아 지면 CPU카드를 추가 해야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조사를 하여 그래프 형식으로 어느 시간에 어느 정도의 요구량이 되는지를 찾아야 한다. sar 3 5 -> sar를 3초 간격으로 5번 실행 ※각 disk에 입출력,활용도를 측정함-c : user mode , system mode , I/O를 위한 waiting , idle 등에 사용된 시간의 백분율-D : 초당 disk의 read , write 와 utilization에 대한 백분율-t : 초당 터미널에 사용된 read, write의 character수-x : 추가된 모든 disk들의 상태 표시 iostat -xtc 3 5 : 3초간 5번씩 iostat을 이용하여 d..
trust관계에 되어있는 사용자들은 비밀번호를 묻지 않고 접속 가능함$HOME/.rhosts 에 ip나 hostname이 맵핑되어있음 rsh [hostname or ip] [command]ex)rsh [hostname or ip] “cd [A Directory] ; tar cvf - .” | (cd [B Directory] ; tar xfBp -)상대방의 A 디렉토리에서 자신의 B 디렉토리로 파일을 복사해옴 rlogin [hostname or ip] rcp /[A Directory] [hostname or ip]:/[B Directory]-> 자신의 A Directory안의 file을 상대방 B Directory로 복사rcp [hostname or ip]:/[A Directory] /[B Director..
tar -> 파일들ufsdump -> file-system 단위dd -> Disk단위cpio -> 특정 file ufsdump [[0123456789]unvloSf] dump_name [file system이나 백업할 것이 위치한 곳]-> ufsdump는 incremental backup 명령어로 증가분에 대해 백업이 가능하다!-> ufs(unix file system) 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HDD를 umount 한 후에 backup을 하는것이 좋음 이유는 file의 내용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ex)pwd : /etc ufsdump 0uf /dev/rmt/0n -> tape device안에 /etc 안의 파일들을 dump 파일로 backup함 ★u : /etc/dumpdates file에 b..
※IT계열에서 백업과 로그는 굉장히 매우 중요하다. 데이터는 돈으로도 바꿀 수 없을 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백업을 잘 알아두자!백업은 대게 테입과 디스크를 이용한다. mt -f /dev/rmt/[숫자hn] command숫자 : tape device를 나타내면 0부터 시작 외장으로 device를 추가하면 늘어남h : 압축밀도를 적어준다. 적지 않으면 밀도가 최대로 저장된다.n : no rewind를 의미한다. 처음으로 되돌리지 않을 때 사용한다.ex) mt -f /dev/rmt/0n command 이런식으로 사용한다. ※tape device는 순차적으로 backup 된다!! 그래서 숫자를 잘 알아둬야 한다!!! 중간만 삭제 같은 것이 안됨!! --------commnad---------1)status : f..
※모두 /usr/sbin에 있음 일반유저가 run-level을 이동 못하게 하기 위해 init 0 :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OK mode로 이동init 1 :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run-level 1 로 이동init 2 :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run-level 2 로 이동init 3 :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run-level 3 로 이동init 5 :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전원을 내림init 6 :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Rebooting함init S :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Single mode로 이동halt : 비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OK mode로 이동poweroff : 비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전원을 내림reboot : 비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내리고 ..
/dev : 장치관련/etc : 실행 파일이나 환경 설정이 들어 있음./usr : 직접적인 실행이나 lib,sbin과 bin으로 일반유저와 슈퍼유저의 사용가능한 명령어를 구분해줌/var : /var/adm에 로그가 기록됨 중요! /opt : 옵션으로 부가 설치가 이곳에 됨/tmp : 휘발성이 있어 재부팅시 파일이 전부 삭제됨/proc : process로 ps -ef 를 이용하여 나오는 현재 실행되는 파일 내용이 저장되어 있음 ufs(Unix File System) : 기본적인 파일시스템zfs(Zetta File System) : ufs와 차이점이 크며 file-system의 크기를 조절 가능함 10에서는 좋지않지만 11부터 좀 더 좋아짐nfs(Network File System) : nfs는 window..
명령어를 주기적으로 실행시켜주는 table이라고 해두자!중요한 이유 crontab의 경우 능동적으로 생각해서 짜야됨! crontab -e [user명/default : root] : crontab을 수정 시키겠다는 의미crontab -l [user명/default : root] : crontab의 파일 내용을 출력해줌crontab -r [user명/default : root] : crontab의 파일을 삭제 ------crontab안의 내용을 보면-----[0~59 Minutes] [0~23 Hours] [1~31 Date] [1~12 Month] [0(日)~6(土) Day-of-Week] [실행 명령어]ex) 30 1 * 2,4,6,8,10,12 * [실행 명령어] : 짝수 개월의 매일 1시 30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