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47)
Hacking Arts
/etc/profile, ~/.bash_profile, ~/.bashrc, /etc/bashrc 파일들은 장치 관리 및 사용자 환경을 위한 설정파일 입니다.위 파일들의 차이점을 알기위해선 먼저 login shell과 non-login shell을 알아둬야 합니다.* login shell : 처음 리눅스를 부팅하고 터미널을 켰을 경우 특정 shell로 접속이 되면 login shell* non-login shell : 터미널을 켰을 때 특정 shell로 들어가지 않고 직접 sh 등의 명령어로 특정 shell에 들어가야 할 경우 non-login shell예를 들어 java 환경변수를 잡을 때 non-login shell일 경우 .bashrc 파일을 이용해야 합니다. * login shell (profile..
alias(명령어 간소화하기)apropos(관련된 명령어 찾기)arch(컴퓨터 종류 알기)arp(같은 서브넷의 IP 보여주기)at(작업 시간 정하기)atd(계획성 있는 작업 실행하기)awk(특정 패턴 문자 처리하기)a2p(펄 파일로 바꾸기)badblocks(배드 블럭 검사하기)bc(계산기)biff(메일 수신 소리로 확인하기)bg(후면작업; 배경화면 설정)bind(키나 함수 순서 결합하기)break(루프 빠져나가기)cal(달력보기)builtin(내부 명령어 알아보기)case(조건 처리하기)cat(화면상에서 파일 보기)cd(디렉토리 변경하기)cfdisk(디스크 설정하기)chattr(파일 속성 변경하기)chfn(사용자 정보 변경하기)chgrp(파일, 디렉토리가 속했던 그룹 바꾸기)chmod(파일 권한 바꾸기)..
정지 없이 명령어를 실행 시키는 명령어이다. 참고 자료 : http://blog.naver.com/wonic?Redirect=Log&logNo=29199091 1. 시스템 부팅메시지☞ 리눅스시스템이 부팅하면서 화면으로 뿌려주는 부팅메시지는 매우 중요하다.☞ 부팅시에 여러가지 하드웨어 관련 설정과 테스트를 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표시하기 때문이다.☞ 즉 시스템 부팅메시지에는 장치에 관한 메시지들과 함께 시스템 이상유무를 확인 할 수 잇는 매우 유용한 정보들이 있다.☞ /var/log/dmesg라는 파일에 저장된다. 2. 부팅메시지 확인 방법☞ /var/log/dmesg라는 파일을 vi등으로 확인하는 방법☞ /bin/dmesg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2-1. dmesg 명령어 사용방법#dmesg | grep..
Sed(Stream Editor) CLI시절 많은 편집 작업을 한번에 처리해주는 적합한 유틸이였다.sed는 파일을 한행씩 처리하고 작업중인 라인을 패턴 스페이스라는 곳에 저장한다고 함. sed 'command' [filename] d : 행 삭제h : 패턴스페이스 내용을 홀드스페이스로 복사H : 패턴스페이스 내용을 홀드스파이스에 추가g : 홀스 스페이스 내용을 패턴 스페이스로 복사G : 홀스 스페이스 내용을 패턴스페이스에 추가p : 행을 출력함n : 다음 입력q : sed 종료r : 파일로 부터 행을 읽어 온다.! : 선택된 행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행에 명령어를 적용s : 문자열을 치환함 이중에서 중요한건 s와 g이다. ★★s : 검색 & 치환sed s/filename/filename.txt/ file..
※사용자나 그룹별로 디스크 용량을 제한하는 명령어이다.일단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 후 실행하기 바랍니다.일단 quota에 사용할 디스크를 마운트 시켜줍니다. 마운트 시켜줄때 fstab 넣어주시는 것을 잊지 맙시다. 이건 이전 내용인 fstab기록방법에 나와있습니다. aquota.user라는 파일은 파티션의 최상위 디렉토리에 생성을 해야 한다는군요. 그리고 권한은 -rw-------이런식으로 줘야하구요 그이유는 설정이 들어가 있다고 하네요 quotacheck -a : 디스크 할당량 활성화 확인 그리고 마운트 된 파일시스템 확인-v : 자세히-u : 그룹 디스크 사용량 확인-g : 유저 디스크 사용량 확인-c : 디스크 사용량 할당 파일 생성-m : 파일시스템에 상관없이 강제로 확인-f : 디스크 활성화 상..
일단 이전의 글인 파티션을 배우고 와야지 가능합니다. 요즘은 Hot-swap이라는 기능이 되어 자동으로 장비를 인식시키는 경우가 많다.원래는 장비를 끄고 넣고 다시키는 번거로움을 겪었었다. 자세히는 computer term에 글이 있을 것이다. 이전에 확장 파티션,주파티션,논리파티션 이해가 안갔다. 이제부터 살펴 보자!/dev 디렉톨에 보면 sda~sdd까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내가 하드디스크를 4개 추가했다. 이유는 처음에 해매다가 추가 하게되었음.장치는 미리 켜기 전에 추가해놓음 자이제 파티션을 나눠보자 일단 fdisk -l 을 해보자눈치 챘을지 모르겠지만 잘 보면 /dev/sdd,sdc이런식으로 하드디스크 명이 보인다. 그렇다 sdc는 파티션이 구성되어 있다.근데 sdd는 구성되어잇지 않다. ..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몇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거대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쪼개어 마치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가 있는 것처럼 사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파티션을 나누는 이유?하드디스크를 여러 개로 분할해서 사용하게 되면 한 곳엔 프로그램 파일과 관리하고 다른 한 곳엔 프로그램 파일과 시스템 파일을 관리하고 다른 한곳은 사용자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면 좀 더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운영체제에 따라 사용하는 하드디스크를 직접 다루는 것이 아니라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제어하므로 각 운영체제에 알맞은 파티션 형식이 각각 있어야 한다. /dev/hda : Primary master 하드..
옵션도 있지만 잘 쓰지 않는 명령어이다. 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CPU %MEM TIME+ COMMAND * PID : 프로세스 ID (PID) * USER :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 * PRI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priority) * NI : NICE 값. 일의 nice value값이다.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음. * VIRT :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SWAP+RES) * RES :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Resident Size) * SHR : 분할된 페이지,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 * S : 프로세스의 상태 [ S(sleeping), R(running), W(swapped out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