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47)
Hacking Arts
※ls는 굉장히 기본적인 명령어인데 이것을 통해 파일의 여러가지 내용을 알 수 있다. ls : 자신이 들어와있는 파일이름만 출력ls -l : file을 자세히 출력해주면서 i-node정보를 출력해줌ls -ld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의 i-node정보 확인 ls -li : i-node 번호 까지 추가해서 출력해줌ls -lu : modification 시간 대신 access시간을 출력해줌ls -lc : 권한 변경 시간을 출력해줌 touch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1.파일크기가 0이고 빈파일을 생성하는 것2.이미 존재하는 file의 날짜를 변경하는 것touch [-acm] [-r Reference file or -t time] [file명]-a : access 일시만 변경-m : modifi..
useradd option useradd에 관한 정보는 /etc/passwd와 /etc/group,/etc/shadow에서 각각의 field정보를 확인 가능하다.usermod는 이미 만들어진 useradd를 바꾸는 것이다. -D : /etc/default/useradd에 있는 내용을 출력해준다.-D -b [홈디렉토리] : 홈 디렉토리 위치 변경 -s : 로그인 shell 변경 (passwd -e로 가능) -e [만료일] : 사용자의 계정이 만료일 변경 -f [작동일] : 만료 기간 변경 -g : 그룹 변경 userdel -r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를 제거하며 삭제함userdel : 사용자의 계정만 삭제됨 ※그룹을 추가하는 명령어-g gid : 지정한 gid로 그룹 ID를 생성-o : -g 옵션과 함께 사..
vxresize -g [group명] [volume명] +[용량] => 용량 만큼을 volume에 추가해 준다. vxassist -g [group명] maxgroup [volume명] => volume이 가장 많이 가질 수 있는 용량을 알려줌 ->그다음 하는 일반적인 오류가 volume을 maxgrow를 하면 기존에 있던 용량을 제외해서 용량을 추가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vxresize -g [group명] [volume명] [용량] => 이렇게 해주면 알아서 기존에있던것이 400g이면 만약 적은 용량이 600g라면 200g를 더 추가해 준다. 대게 storage에 가장 오른쪽 가장자리에 위치시켜 여유 Disk를 지정해놈 이렇게 하면A B C D이렇게 ABC가 raid0 구성 하다가 B가 깨지면 ..
★★★★★ vxdisk -o alldgs list : volume들을 deport시켰을 때 group명을 보기 위해 치는 명령어 ★★★★ vxrecover -g [group명] -s : group 단위 별로 volume들을 다시 enable로 시키기 위해 사용함 vxedit rename [이전 volume명] [바꿀 volume명] vxedit -g [group명] -rf rm [volume명] ※이 명령어는 주로 volume을 유지한 채 데이터를 이전하기 위해 사용함 vxdg deprot [group명]※vxdisk list와 vxdisk -o alldgs list의 차이점을 보여줌 vxdg import! [group명] ->deport 후 group상태로 잠금 되어짐->아래와 같이 volume이 DI..
★★★★★ vxdisk list : FDP안에 들어가 있는 disk list를 출력 한다. ★★★★ vxprint : volume 생성 된 FDP(Free Disk Pool)>vxdisksetup -i [Disk명(ex c0t1d0)] OS>vxdiskunsetup -C [Disk명(ex c0t1d0)] ★★★ vxdg : 그룹관련 명령어 vxdg init [group명] [alias명]=[Disk명] ※disk 하나를 무조건 할당해 주어야함 그렇지 않으면 할당이 되지 않음 -------그룹이 생성 된 후부터------vxdg -g [group명] [alias명]=[Disk명]※alias거는 것은 중복으로 가능 vxassist -g [group명] make [volume명] [용량] layout=[rai..
H/W적인 구성과 장비명 등을 알 수 있는 명령어, 이상이 있는지도 확인 가능하다. 이 명령어를 치면 아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H/W적인 구성을 알도록 하자! RC script가 해오던 기능인 service의 시작과 멈춤을 SMF가 대체하기 시작하였다.svcs -a | grep : 고정이라 봐도 되며 자신이 원하는 service telnet이나 ftp같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D : 지정된 service에 종속된 instance를 나열 -d : 지정된 service의 종속성을 나열 -x : 에러의 상태를 출력 -v : 자세히 정보를 출력svcadm [enabled/disabled/flush등...] [service명] : service를 시작,멈춤,재시작등을 할수 있는 명령어 -..
※전송 방식을 결정시켜주는 명령어ex)10Mbps hlf duplex로 설정하는 법# ndd -set /dev/hme instance 0 # ndd -set /dev/hme adv_100T4_cap 0 # ndd -set /dev/hme adv_100fdx_cap 0 # ndd -set /dev/hme adv_100hdx_cap 0 # ndd -set /dev/hme adv_10fdx_cap 0 # ndd -set /dev/hme adv_10hdx_cap 1 # ndd -set /dev/hme adv_autoneg_cap 0 # ndd –get /dev/hme link_status 1 # ndd –get /dev/hme link_speed 0 # ndd –get /dev/hme link_mode 0ex2..
※solaris에 있는 매우 편리한 기술로 한servr에서 다른 여러대의 server에 solaris 설치가 가능하다.1.hostname과 ip,mac주소를 각각 /etc/hosts , /etc/ethers에 mapping해준다.->여기서 mac주소를 쓰는 이유는 OK mode에있는 solaris가 설치되어있지 않는 server들은 ip주소가 없으므로 mac주소로 통신해야 된다->즉 여기서 잘 만 생각해보면 랜에서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MAC주소의 경우 스위치를 넘으면 ip주소를 넘기지 않으면 통신 할수 없다. -----------이 과정은 nfs해줄 Tool과 config file을 지정 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mkdir –m 755 /export/install ;boot 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