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g Arts
Wireless - 1 본문
★AP(Acess Point) : 공유기와 같이 유선에서 스위치 역활은 하는 놈임
<무선통신의 기본적인 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ence) - IEEE802.11
1)Listen Air Space(radio wave) : 즉 현재 통신이 일어나고 있는지 들어보는 겁니다. 전에 배운 CSMA/CD에서도 같은 동작을 함
2)Set Random wait timer before sending frame : 데이터 전송 X, Random시간 wait
3)After timer has passed , Listen again and send : 랜덤 시간 후, 다시 통신여부 전송 그다음 프레임 전송
4)Wait for an Ack : Ack신호 기다림
5)If no Ack,resend the frame : 다시 1번으로
<네트워크 통신 수에 따른 구분>
Ad Hoc 모드 : pc------pc ex)닌텐도,블루투스 같은것 단말기와 단말기가 통신하는 것 (1:1통신)
Infrastructure 모드 : pc------ap-----pc ex)무선 공유기 (1:多통신)
<Infrastructure 의 두가지 방식>
★BSS(Basic Service Set) : AP 1대를 이용
★ESS(Extended Service Set) : AP 여러대를 이용
아래 사진이 ESS이다.
★ESS : 서로 다른 주파수를 이용(주파수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area=비중첩 채널 사용)
IBSS(Independent BSS) : Ad Hoc 모드에서 제공되는 service set
<무선 통신의 인코딩 3가지>
★인코딩이란? 데이터를 무선 신호(radio signal)로 바꾸는 과정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 무선 신호를 주파수 채널로 빠르게 바꿔가면서 전송하는 방식
최초 IEEE802.11 사용 요즘 사용X , a가 사용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 여러 채널중 하나 잡음, 신호를 매우 작은 전력으로 넓은 대역으로 전송
IEEE802.11b에서 이용,잡음 영향↓,낮은 전력 사용,보안에 우수함, 최대 11개 채널중 비중첩이 3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하나의 시그널을 여러개의 주파수로 나누어 보내는 방식
IEEE802.11a,g가 사용
'Network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0) | 2014.08.23 |
---|---|
Wireless - 2 (0) | 2014.08.23 |
ACL(ACcess-List) , HSRP(Host Stand by Routing Protocol) (0) | 2014.08.23 |
Dynamic Routing (0) | 2014.08.23 |
Frame-Relay (0) | 201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