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g Arts
Wireless - 2 본문
★SSID(Service Set IDentifier) : 무선 네트워크에서 쓰는 이름, 같은 무선네트워크에 있는 장비들은 모두 같은 SSID를 소유함
SSID Broadcast를 Disabled하면 이것을 SSID Clocking이라고 함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폴트로는 100ms마다 SSID와 기타 구성 정보를 Broadcast로 뿌려줌
네트워크 인증 - 개방모드 : SSID만 맞으면 바로 시작
- 공유된 key 값을 비교해서 크기가 맞았을때 통신
- WPA (Wi-Fi Protocol Access)
WPA2 (Wi-Fi Protocol Access 2)
★Wi-Fi (Wireless Fidelity)란? 무선장비들의 호환성 검증
★★보안 : Authentication 과 Encryption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클라이언트 장비와 AP가 같은 key값(40bit,static)을 나눠가지고 있다가 연락할때 인증 방식
static이라서 보안에 취약함
802.1x(사용자 인증 방식) : username과 password를 이용한 방식 (key값으로 연락해도 name과 pass를 몰르면 연결x)
WPA(Wi-Fi Protected Access) : 802.1x보안 도입 + (static key값을 dynamic key value로 변환) +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이라는 암호화 기법 사용
802.11i(표준) : WPA에서 TKIP가 아닌 AES를 사용
WPA2 : 기존의 WP에서 지원하지 않던 AES 암호화를 지원(TKIP와 AES를 같이 지원한다고 생각하면 됨)
★PoE(Power over Ethernet =IEEE802.3af) : 이더넷을 이용해서 전력공급 함, PoE를 지원하는 스위치 여야함
'Network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0) | 2014.08.23 |
---|---|
Wireless - 1 (0) | 2014.08.23 |
ACL(ACcess-List) , HSRP(Host Stand by Routing Protocol) (0) | 2014.08.23 |
Dynamic Routing (0) | 2014.08.23 |
Frame-Relay (0) | 201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