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g Arts
IPv6 본문
<IPv6>
flexibility (융통성) / aggregation (요약) / Multihoming (여러 곳으로 돌아갈 수 있음)
장점 : Addressing Hierarchy , End-to-End Reachability
IPv6 주소는 16진수로 표시하고 4자리마다 : 으로 구분
prefix Aggregation 때문에 체계적으로 관리와 Supermetting이나 CIDR이 가능함
Stateless Auto Configuration => 특정서버 없이 DHCP가 가능 => IPv6
Stateful Auto Configuration => 특정 서버가 있어야 DHCP가 가능 => IPv4
=> 이 차이점
*IPv6 => 일단 자신의 MAC주소를 48Bit에서 64Bit로 만든다. 그다음 Network주소에서 오는 64Bit prefix를 붙여 총 128Bit를 만든다
Default Router가 IP와 그 외 정보로 보내줌
IPv6 => Broadcast X Multicast (ScopeID)
Mobility (이동성) -> IPv4는 기능 추가지만 IPv6는 자동으로 Built-In 되있음 -> 보안이 좀더 강화
0001:0001 => 1:1 로 변화 가능
1002:0:0:0:1005 => 1002 : :1005 변화가능
*유니cast,멀티,any cast => 가장 먼저 받는 놈이 임자임
<IPv4와 IPv6 연동>
1)Dual-Stack : IPv6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은 IPv6를 못하면 IPv4를 사용하도록 만든 것
2)Tunnel : PC(IPv6)-----IPv4구간-----PC(IPv6) => 이처럼 되어있을때 IPv4로 캡슐화 해서 끝나는 지점에서 때어내서 다른쪽 IPv6에게
보내는 것
<IPv6주소 넣는 법>
1)IPv6 address [IPv6 address] [/prefix-length] [Link-Local] = >이와 같은 방법과
2)IPv6 address [IPv6 prefix] [/prefix-length] eui-64 => IPv6 Prefix로 네트워크 주소 64Bit안 주면 뒷부분을 eui-64 방식으로 64bit를
만들어서 정하는것 -> MAC주소 중앙을 벌려 FF:FE를 넣고 맨앞에 02로 변환
3)IPv6 unnumbered interface a => interface a의 주소를 사용하겠다.
'Network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reless - 2 (0) | 2014.08.23 |
---|---|
Wireless - 1 (0) | 2014.08.23 |
ACL(ACcess-List) , HSRP(Host Stand by Routing Protocol) (0) | 2014.08.23 |
Dynamic Routing (0) | 2014.08.23 |
Frame-Relay (0) | 2014.08.23 |